퇴계 율곡의 이기론의 비교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5 01:23
본문
Download : 퇴계 율곡의 이기론의 비교론.hwp
ꡕ
율곡이 말하는 “리는 형이상이며 기는 형이하로서 혼합되지도 격리되지도 않는다. 이미 이물이 아니며 또 일물도 아닌 것입니다. 율곡의 리기에 대한 해석은 그가 성혼에게 답한 편지에서 읽을 수 있다. 어디에서 그 다른 점을 볼 수 있는 것이겠습니까? 이른바 리자리·기자기라는 것은 어디에서 그것이 과연 그러하다는 것을 볼 수 있는 것입니까?ꡕ
라 하였다. 일물이 아니라는 것은 무엇을 말함이겠습니까? 리기가 비록 서로 격리될 수 없는 것이지만 묘합하는 가운데 리는 스스로 리이며 기는 스스로 기로서 서로 협잡하지 않기 때문에 일물이 아니라고 하는 것입니다.”는 논법은 본래 퇴계의 논법과 같은 것으로 하나같이 주자에 근거를 둔 것이다.
ꡔ리가 아니면 ...
,기타,레포트
설명
퇴계설의 중점은 리·기의 분별에 있다. 이물이 아니라는 것은 무엇을 말함이겠습니까? 비록 리는 스스로 리이며 기는 스스로 기인 것이라 하더라도 혼돈무간하고 선후리합이 없어 그것이 이물임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이물이 아니라고 하는 것입니다.ꡔ리가 아니면 ... , 퇴계 율곡의 이기론의 비교론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퇴계 율곡의 이기론의 비교론
Download : 퇴계 율곡의 이기론의 비교론.hwp( 66 )
퇴계설의 중점은 리·기의 분별에 있따 율곡의 리기에 대한 해석은 그가 성혼에게 답한 편지에서 읽을 수 있따
ꡔ리가 아니면 기는 근거할 바가 없고 기가 아니면 리도 의착할 바가 없는 것입니다. 이러하다면 리와 기는 하나인 것입니다. 그러나 그는 성혼에게 답한 편지에서,
ꡔ기는 리와 격리될 수 없고 리는 기와 격리될 수 없다고 합니다.ꡕ
ꡔ리는 형이상자이며 기는 형이하자로 이자는 서로 격리될 수 없습니다.
리라는 것은 하나일 뿐인 것이며 이에 타는(승)기가 승릉류행하여 이것이 천지간의 만물을 생성케 하고 그 나누어 지는 것은 수만갈래인 것이다. 리는 하나이나 여러 갈래로 나누어진다(리일분수)는 말은 원래 정이천이 문인 양시(1053~1135·호는 구산·자는 중립)에게 답한 장재의 서명의 주를 썼…(생략(省略))
퇴계설의 중점은 리·기의 분별에 있다 율곡의 리기에 대한 해석은 그가 성혼에게 답한 편지에서 읽을 수 있다
순서






다.
율곡의 설은 리기가 묘합하여 불리한다는 것이 주가 되며 중점의 리기의 합에 있는 것이다. 일물이 아니기 때문에 하나이면서 둘이며 이물이 아니기 때문에 둘이면서 하나인 것입니다. 이것이 또 퇴·율의 다른 점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