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데거의 논문에서의 사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13:11
본문
Download : 하이데.hwp
그 이후로 존재로부터 사유는 분리되었고 이러한 분리는 플라톤으로부터 니체에 이르기까지 서양 형이상학의 전체의 진행 속에서 주체-객체의 구별로 굳혀져 버렸다. 이러한 객관화의 운명(Schicksal)은 일체의 모든 존재자를 다발로 묶어버린다. 이로써 사물은 더 이상 스스로 피어오르면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주체의 표상적-논리적 사유에 의해서 형상적으로 각인되어질 질료, 즉 계산적으로 지배가능하고 꿰뚫어 볼 수 있는 대상으로 제한되어 버렸다.
그러나 존재와 사유의 이러한 근원적인 관련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존재자의 형이상학이 시작되면서 상실되어 버리고 말았다. 여기에 봉임하고 있는 전통적인 질료-형상 concept(개념)은 사물을 결코 그 근원적인 사물존재인 자생적이면서 자기 안에 머무는 것에 있어 파악할 수 없고 오히려 그 연원을, 사용 중에 마모되어 버리는 통상적 도구의 도구존재인 용도에서 갖기 때문에 사물을 오히려 덮쳐 버리는 서양 사유의 역사(歷史)에 부응하는 지배적인 사물해석으로서 군림해 왔다.
제 2 절 예술작품에 대한 직접적 경험에서부터 도구를 그 도구존재에 있어 서술함
제 2 절 첫 번째 전승된 사물해석: 속성의 담짖로서의 사물
제 1 장 물음의 출발
존재 사유 하이데거 / 우리말 번역본,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이기상 옮김, 서광사, 서울, 1994.
제 2 장 전승된 사물concept(개념)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제 4 절 작품의 현실성과 예술
제 1 절 본래적 의미에서의 사물
제 3 절 도구의 근원적인 도구존재로서의 신뢰성
이기상, 《하이데거의 실존과 언어》, 문예출판사, 서울, 1991.





맺 음 말
하이데거의 논문에서의 사물
Download : 하이데.hwp( 56 )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제 1 절 사물과 작품 사이의 특별한 중간 자리로서의 도구
제 4 절 세 번째 전승된 사물해석: 질료와 형상의 통일로서의 사물
머 리 말
제 3 절 두 번째 전승된 사물해석: 감관에 주어진 것의 다양의 통일로서의 사물
이기상, 《하이데거의 존재와 현상》, 문예출판사, 서울, 1992.
제 3 장 작품의 현실성에 대한 직접적 경험 속으로 뛰어듦
제 2 절 현상학적 방법에 대하여
순서
존재 사유 하이데거 / 우리말 번역본,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이기상 옮김, 서광사, 서울, 1994. 이기상, 《하이데거의 실존과 언어》, 문예출판사, 서울, 1991. 이기상, 《하이데거의 존재와 현상》, 문예출판사, 서울, 1992. (철학)
제 1 절 작품의 사물적 차원에 대한 물음을 사물의 존재 일반에 대한 물음에로 확장함
(철학)
존재 사유 하이데거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