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지방자치시대의 제3섹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3 08:04
본문
Download : 한국 지방자치시대의 제3섹터.hwp
여러분들에게 모쪼록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지원장치의 미흡
2. 제3섹터의 발전해결해야할문제
가. 제3섹터에 대한 인식제고
나. 제3섹터방식 적용령역의 확대
다. 따라서 제3섹터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공동으로 출자하여 법인을 설립함으로써 공공부문의 영역에 민간의 능력을 도입함과 동시에 공적 지원의 강화를 통해 민간부문을 활성화시키는 사업을 모두 의미하는 것”으로 definition 할 수 있따 따라서 제3섹터는 소위 민활뿐만 아니라 관활도 포함하는 개념(槪念)이라 하겠다. 즉, 산업개발 등 대규모 개발사업은 공공사업에 의한 기반정비 위에 민간의 투자가 이루어진다고 하는 복합성을 가지므로 공공·민간의 합동방식에 의한 사업주체의 설립이 유효하다. 이와 같이 제3섹터라는 개념(槪念)은 日本(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관행적으로 정립되어 온 것이어서 그 개념(槪念)범위에 관해 여러 논의가 있을 수 있따 우선 넓은 의미에서 파악한다면 제3섹터는 민관협력체계의 일부분이라 할 수 있따
다음 [그림 1]은 민관협력체계가 민간위탁, 민자유치, 민관합동개발, 제3섹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측에 위치할수록 민관의 협력정도가 강함을 나타내고 있따 본 연구는 이 중 최협의의 민관협력방식이라 할 수 있는 제3섹터, 즉 민관합동법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지방자치시대의 지역경영전략으로서 제3섹터의 배경과 의의를 확인하고 국내외의 제도 및 현황을 검토한 후 우리나라 제3섹터의 발전과제를 살펴봤습니다. , 한국 지방자치시대의 제3섹터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한국 지방자치시대의 제3섹터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한국 지방자치시대의 제3섹터.hwp( 17 )
Ⅰ. 머리말
Ⅱ. 제3섹터의 의의
1. 제3섹터의 배경
2. 제3섹터의 개념(槪念)
3. 제3섹터의 논리
가. 민간화의 논리
나. 지방화의 논리
다. 경영화의 논리
Ⅲ. 日本(일본)의 제3섹터 present condition
1. 연혁
2. 제도적 여건
가. 지방공사 체계와 제3섹터
나. 지원제도
3. 제3섹터 설립實態
Ⅳ. 우리나라 제3섹터 present condition
1. 연혁
2. 제도적 여건
가. 지방공기업 체계와 제3섹터
나. 지원제도
3. 제3섹터 설립實態
가. 지방공사형 제3섹터
나. 사법인형 제3섹터
Ⅴ. 우리나라 제3섹터의 展望
1. 제약요인
가. 제3섹터에 대한 인식 부족
나. 제3섹터방식 적용령역의 협익성
다. 지원장치의 강화
제3섹터의 배경은 크게 3가지로 요약될 수 있따
첫째, 공공부문의 자금부족이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종래 공공부문의 영역이었던 분야 가운데서 공공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고도화·다양화됨에 따라 유료화·기업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설명
여러분들에게 모쪼록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셋째, 공공령역의 기업화 경향이다.
3. 제3섹터의 논리
가. 민간화의 논리
1980년대 초 이후 민간화(Privatiz…(drop)
다. 이에 제3섹터에 의한 능률향상·자원배분의 적정화가 기대되었던 것이다.
둘째,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협조가 가능한 영역이 확대되었다는 것이다.
2. 제3섹터의 개념(槪念)
제3섹터는 미국에서는 관민협력체제(Public-Private Partnership)로, 日本(일본)에서는 민활(민간사업자의 능력활용)의 일환으로 그 발전을 이루어 왔다. 공공부문이 사회기반시설 등을 정비함에 있어서 자금부족을 메꾸기 위하여 민간자금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고, 자금조달능력 강화의 수단으로 민간기업의 참여를 요청하게 되었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지방자치시대의 지역경영戰略으로서 제3섹터의 배경과 의의를 확인하고 국내외의 제도 및 상황을 검토한 후 우리나라 제3섹터의 발전課題를 살펴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