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7 15:04
본문
Download : ●국악.hwp
또한 한국음악과 한국대중음악은 구분된다된다.
한국음악사학
근대과학으로서의 한국음악사학 연구는 한국 전통음악을 연구하는 한국국악학회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한국음악은 지역상 동양음악에 속하며 동시에 인문학인 음악사학의 연구대상이다. 이혜구(李惠求)는 1940년대 `양금신보의 사조(梁琴新譜 四調)`를 발표한 이래 많은 논문을 내었고 논문집 `한국음악연구`와 `한국음악서설`, `한국음악논총`을 내었다. (편의상 아래 내용에서는 국악으로 칭한다.) 그러나 거시적 관점에서 한국음악사를 조망하고 세계음악의 한 조류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명칭의 한국음악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 밖에도 함화진(咸和鎭)의 `조선음악통론`, 성경린(成慶麟)의 `조선음악독본``조선의 아악``국악감상``한국음악논고``한국의 무용`, 김기수(金琪洙)의 `국악입문`, 박헌봉(朴憲鳳)의 `창악대강` 등의 저서가 있다 1959년에는, 비록 인문학인 한국음악사학이 엄연히 다른 음악 연주와 작곡을 담당하는 영역과 공존하는 형태이지만,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 국악과 …(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예체능
●국악 , ●국악예체능레포트 , ●국악
설명
●국악
●국악,예체능,레포트
순서
●국악
Download : ●국악.hwp( 51 )
다.
한국음악과 한국음악사학
한국에서는 한국음악을 `나라의 음악`이라는 뜻에서 국악(國樂)이라고도 부른다. 장사훈(張師勛)은 `보허자고(步虛子考)`를 비롯하여 많은 논문을 내었고 논문집 `국악논고``한국전통음악의 연구``한국악기대관``국악총론``한국음악사``전통무용의 연구`를 내었다.
국악
한국음악(韓國音樂, Korean Music)은 한반도 및 중국(中國) 동북부 등에서 발생하여 고대시대부터 전승되어오는 음악과 오늘날 이를 기반으로 새로이 생성되고 있는 한민족(韓民族)의 음악을 총칭한다. 한국음악은 지역상 동양음악의 한 갈래이며 기초 인문학인 음악사학의 연구대상이다. 넓은 의미의 한국음악은 소위 국악으로 불리는 1) 한국음악과 현대에 서양음악의 기법을 사용하여 창작된 현대음악 및 현대의 창작국악을 포함한 2) 한국현대음악, 그리고 현대의 한국대중음악을 모두 포함하는 concept(개념)이나 일반적으로 국악은 한국음악으로 불리며 한국현대음악도 한국음악에 포함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