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일월수다라니주머니에 대하여 / 일월수다라니주머니에 대하여.. ▒ 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07:58본문
Download : [인문학] 일월수다라니주머니에 대하여.hwp
해를 상징하는 3족오 즉 일(日) 만다라 뒤쪽에는 `곤명갑술 곽시 망건명 갑슐...
일월수다라니주머니에 대하여.. ▒ 지정번호 중요민속reference(자료) 제42호 ▒ 지정...
[인문학] 일월수다라니주머니에 대하여 / 일월수다라니주머니에 대하여.. ▒ 지
![[인문학] 일월수다라니주머니에 대하여-1264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9D%B8%EB%AC%B8%ED%95%99%5D%20%EC%9D%BC%EC%9B%94%EC%88%98%EB%8B%A4%EB%9D%BC%EB%8B%88%EC%A3%BC%EB%A8%B8%EB%8B%88%EC%97%90%20%EB%8C%80%ED%95%98%EC%97%AC-1264_01.gif)




순서
Download : [인문학] 일월수다라니주머니에 대하여.hwp( 22 )
인문학 일월수다라니주머니에 대하여 / 일월수다라니주머니에 대하여.. ▒ 지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위의 끈은 9.5㎝이고 아래로는 17㎝의 줄 3개가 늘어져있고 각각의 줄 끝에는 금권지와 같은 1 4원이 3개씩 달려 있다. 곧 청신녀가 왼쪽을 향해 서 있고, 청신녀 오른쪽에 `淸信女(청신녀) 己酉生(기유생) 柳氏(류씨)`라는 글이 써있고 왼쪽에는 `妙眞華 (묘진화) 極樂地(극락지) 大願(대원)`이라는 발원문이 그리고 맨 윗쪽의 큰 연꽃 중앙에 있는 원안에는 달의 상징인 토끼가 수 놓아 있다. 만다라화란 부처가 설법할 때에 법열(法悅)의 표시로서 하늘에서 내린다는 흰 꽃 혹은 흰 연꽃을 말하는데, 보통 연꽃도 해당한다. 맨밑에 있는 연잎은 접시같이 연꽃을 받치고 있다.
일월수다라니주머니에 대하여.. ▒ 지정번호 중요민속자료 제42호 ▒ 지정...
일월수다라니주머니에 대하여.. ▒ 지정번호 중요민속data(資料) 제42호 ▒ 지정연월일 1979년 1월 23일 ▒ 시 대 조선시대 ▒ 규모·양식 1쌍, 자수 ▒ 소 유 자 허동화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3가 296 일월수달니주머니는 해를 상징하는 삼족오(三足烏)와 달을 상징하는 토끼를 만다라 꽃 중앙의 둥근 원에 수놓은 주머니이다. 오른쪽에는 `淸信女(청신녀) 己酉生(기유생) 金氏(김씨)`가 왼쪽에는 `虛室華(허실화) 極樂地大願 (극락지대원)` 이라는 발원문이 수 놓아져 있고 맨 윗쪽의 큰 연꽃의 중앙에 있는 원안에는 해의 상징인 삼족오가 수놓아 있다. 일월수다라니주머니는 음양 2개이며 크기는 가로 11.5㎝, 세로 19㎝이며, 그 위 매듭의 크기는 7.2×6㎝이다. 양쪽 글씨 옆으로 연꽃과 연밥이 달려 있는 연꽃줄기 한가지씩 수 놓아져있다. 또 양에는 연꽃 위에서 부처에게 발원하는 여신도가 역시 상궁이라고 씌여있는 원을 연결한 줄을 두손에 쥐고 있다. 일월수다라니주머니는 음과 양을 상징하는 1쌍으로 음에는 연꽃 위에서 부처에게 발원하는 여신도는 맨위에 있는 큰 꽃밑 중앙에 尙宮(상궁)이라고 쓰여있는 원을 연결한 줄을 두 손으로 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