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강원도 & 경기도의 장례cultur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16:12
본문
Download : [인문][사회] 강원도 & 경기도의 장례문화.hwp
[인문][사회] 강원도 & 경기도의 장례문화 , [인문][사회] 강원도 & 경기도의 장례문화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사회 강원도 & 경기도 장례문화
설명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그 예로 객사로 죽은 사람은 집안으로 들이지 않고 그 밖에서 장례를 치루거나 또는 개가 드나들던 울타리를 통애 집안으로 들이고 나갔다고 한다. 이는 객사를 막기 위해서이다. 특히 결핵이나 폐병 등으로 사망하였을 경우 임종을 사람이 하지 않고 강아지를 방에 집어 넣는데 이는 고인이 죽을 때 내 뱉는 숨에 결핵균이 있다하여 강아지가 들어가 이 숨을 모두 들여마시게 하였다고 한다.
2) 운명 임종 속광
죽음을 확인하는 절차로 몸이 차가워 기거나 코에 가벼운 솜털을 놓아서 죽음을 확인하였다.[인문][사회] 강원도 & 경기도의 장례culture
강원도 & 경기도의 장례文化
1. 초종
1) 천거정침 객사 면하기
사람이 죽음에 가까워 지면 빨리 집안으로 모셨다. 그만큼 객사를 좋지 못한 죽음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우리의 전통 文化이다.3) 수시
망자가 숨을 거두게 되면 수족을 거두는데 이때 칠성판 위에 시신을 가지런히 놓이…(To be continued )4) 초혼 고복
5) 사잣밥
6) 부고
7) 부조
2. 염습
1) 목욕
2) 습 수의 시신화장
3) 반함
4) 소렴
5) 대렴
6) 입관
7) 혼백
8) 토롱과 빈소
9) 노잣돈
3. 성복
1) 성복과 성복제
2) 문상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강원도,&,경기도,장례문화,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인문][사회] 강원도 & 경기도의 장례culture
Download : [인문][사회] 강원도 & 경기도의 장례문화.hwp( 44 )
![[인문][사회]%20강원도%20&%20경기도의%20장례문화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A%B0%95%EC%9B%90%EB%8F%84%20&%20%EA%B2%BD%EA%B8%B0%EB%8F%84%EC%9D%98%20%EC%9E%A5%EB%A1%80%EB%AC%B8%ED%99%94_hwp_01.gif)
![[인문][사회]%20강원도%20&%20경기도의%20장례문화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A%B0%95%EC%9B%90%EB%8F%84%20&%20%EA%B2%BD%EA%B8%B0%EB%8F%84%EC%9D%98%20%EC%9E%A5%EB%A1%80%EB%AC%B8%ED%99%94_hwp_02.gif)
다.